2025년 기초연금 인상 금액, 수급 기준 변화 및 향후 전망 알아보기
2025년 기초연금 인상 금액 및 지급액 비교
2025년부터 기초연금은 전년 대비 2.3% 인상되어, 단독가구의 경우 월 최대 342,510원, 부부가구는 548,000원까지 지급됩니다. 이는 각각 전년도 대비 7,700원, 12,320원이 증가한 수치입니다.
인상률은 2024년 소비자물가 상승률(2.3%)을 반영해 산정되었습니다.
구분 | 2024년 최대 금액 | 2025년 최대 금액 | 증액 | 인상률 |
단독가구 | 334,810원 | 342,510원 | 7,700원 | 2.3% |
부부가구 | 535,680원 | 548,000원 | 12,320원 | 2.3% |
지급 시기 및 신청 절차
기초연금 인상분은 2025년 1월부터 적용되어, 기존 수급자에게는 자동으로 인상 금액이 포함되어 지급되고 있습니다. 지급일은 매월 25일이며, 주말 또는 공휴일과 겹칠 경우 그 전날에 입금됩니다.
기존 수급자는 별도의 신청 없이 자동 반영되며, 입금 내역을 통해 인상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신규 수급자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신청이 가능합니다:
- 신청 시기: 만 65세 생일이 속한 달의 한 달 전부터
- 신청 방법: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,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(모바일 포함)
- 예시: 1960년 2월생은 2025년 1월 1일부터 신청 가능 → 2월부터 수령 시작
2025년 수급 자격 기준 완화 내용
2025년에는 선정기준액이 상향 조정되어, 수급 대상이 되는 어르신의 범위가 넓어졌습니다.
- 단독가구: 월 213만 원 → 228만 원
- 부부가구: 월 340.8만 원 → 364.8만 원
이는 각각 7% 인상된 금액으로, 탈락했던 고령자도 다시 수급 자격을 얻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.
추가 변화 사항:
- 비동거 직계존비속의 교육·의료비 공제 확대
- 근로소득 공제: 110만원 → 112만원
- 자연적 소비금액도 상향 조정되어 재산 기준 완화
기초연금 인상이 미치는 영향과 전망
이번 인상으로 연간 약 9만 원 수준의 추가 소득이 생기며, 공과금, 관리비 등 생계비 충당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
기초연금 수급자는 약 736만 명으로 확대되었으며, 이는 노인빈곤률 완화와 경제적 자립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.
- 수급자 가구의 평균 소비성향은 57.6%로, 비수급가구 대비 8.7%p 높습니다.
- 2021년 기준 지급 예산의 71.7%가 소비로 이어져, 세수 확대 및 GDP 증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.
2028년까지 단계적 40만원 인상 계획
정부는 2028년까지 월 40만 원 지급을 목표로 단계적 인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
- 2026년: 생계급여 수급 노인 → 40만 원 우선 지급
- 2027년: 전체 소득 하위 70%로 확대
- 2028년: 전면 시행 목표
하지만 이와 관련한 재정 부담 문제도 대두되고 있습니다. 2030년 기초연금 예산은 39조 7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따라서 중장기적으로는 선별적 지원 강화와 국민연금 개혁 등과 연계한 복합적 접근이 요구됩니다.
📝 정리
- 2025년 기초연금은 단독가구 34만 2,510원, 부부가구 54만 8,000원으로 인상
- 선정기준액 인상으로 더 많은 고령자에게 수급 기회 제공
- 1월부터 인상액 반영되어 매월 25일 지급
- 2028년까지 월 40만 원 지급 목표 단계 추진
- 노인빈곤 완화 및 경제 소비 진작 효과 긍정적
📌 기초연금 관련 문의 및 신청처
- 복지로 홈페이지
- 관할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
- 국민연금공단 고객센터 ☎ 1355